트럼프가 다시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본인이 직접 가상자산에 대한 사업과 정책을 준비한 모습을 보면서 많은 개인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을 포함한 가상자산 암호화폐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투자 대상을 파악해야하고, 이해관계자들의 움직임과 시장의 방향성을 잘 보아야 한다. 특히 지표를 활용하면 자신만의 명확한 투자기준을 세우는데 도움이될 수있다. 적어도, 믿음을 갖을 수 있다.
이제 암호화폐 투자를 위한 지표를 알아보자.
1. 비트코인 가격과 도미넌스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전 세계 가상자산 시가총액 가운데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강세를 기록하며 도미넌스가 상승하다가 알트코인으로 자금이 흘러가는 낙수효과가 생겨나는데, 이때 도미넌스가 하락하며 가상자산 시장의 강세장이 오곤 한다.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트레이딩뷰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검색어에 'BTC. D'를 입력하면 된다. 도미넌스는 시가 총액의 양적 변화가 아닌 상대적인 비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트레이딩뷰에서 TOTAL2'(가상자산 시가총액-비트코인 시가총액)를 검색해 함께 보면 시장의 흐름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비트코인 가격과 비트코인 도미넌스 보면, 반감기 후 비트코인 가격 상승과 함께 비트코인 도미넌스 비율이 점차 올라간다. 그리고 도미넌스가 65~70% 의 정점을 지나서 그 비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그 이유는 알트코인 시총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는데, 2017년 말부터 2018년 초까지, 그리고 2020년 연말부 터 2021년 5월까지 알트코인 시총이 폭발적으로 상승하기 때문이다.
물론 비트 코인 가격은 내려가지 않고 횡보하고 있기에 전체 코인 시총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
전체 자상자산 시가총액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율
2. 비트코인 MVRV
온체인 데이터(On-Chain Data)는 블록 체인상에서 이루어진 거래 명세를 담고 있는 데이터다. 블록체인은 모두에게 열려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를 활용해 거래된 코인 수, 지갑 주소, 채굴자들에게 지급되는 수수료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다. 온체인 데이터는 크립토퀸트, 체인익스포즈드, 비트코인 매거진 등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비트코인 MVRV(Market Value to Realized Value) 지표는 코인의 시가총액을 실현 시가총액(realized cap)으로 나눈 값으로, 현재 코인 가격이 고평가 혹은 저평가돼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쉽게 말하면, 현재 비트코인 가격과 평균 매수 가격의 비율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1 이하일 경우 저점, 3.7 이상일 경우 고점인 경우가 많았다.
3. 비트코인 200주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은 기본적으로 지지선과 저항선 역할을 한다. 그중 지지선은 가격이 일정 수준까지 떨어지면 매수자에 의해 가격이 더 하락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비트 코인 200주 이동평균선은 말 그대로 비트코인 가격 200주 평균값을 나타낸 지표다. 일반적으로 가상자산 시장에서 비트코인 200주 이동평균선은 바닥 가격이자 강력한 지지선으로 해석되며, 대표적인 비트코인 투자 심리 분석 지표로 활용 되고 있다. 즉, 200주 이동평균선에 가격이 근접하면 해당 시점은 비트코인 매수 절호의 기회였음을 알 수있다. 과거 데이터를 살펴보면 2008년 비트 코인이 등장한 이후, 역사적으로 200주 이동평균선을 하회하던 시기는 7번 존재했고 매수 적기의 시기였다. 비트코인 반 감기가 4년(약 200주) 주기인 것을 감안하면, 사람들의 심리와 사이클이 교묘하게 맞아들어 투자 시장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4. 달러 인덱스
일반적으로 달러 인덱스와 투자 시장은 역의 상관관계에 있다. 즉, 달러 약세는 투자 시장의 상승기를, 달러 강세는 투자 시장의 하락기를 의미한다. 달러 인덱스는 세계 주요 6개국 통화인 유로, 일본엔 화, 영국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대비 미국 달러의 평균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다. 1973년 3월의 값을 100으로 두고 미국 중앙은행 (Fed)이 작성한 뒤 발표한다. 달러 인덱스가 상승하면 미 달러화 가치가 올랐다는 뜻이고, 하락하면 미 달러화 가치가 떨어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위 내용은 MONEY 11월호에 실린 내용을 요약 편집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개 기업 리스트와 분석, 25년도 편입예정 종목까지 알아보기 (2) | 2024.11.13 |
---|---|
2024년 포브스 선정 미국 부자 Top20 (4) | 2024.11.13 |
대한민국 기업 여성 대표이사 주식재산 Top 10 (1) | 2022.09.19 |
인도 10대 기업 순위 공개 (3) | 2022.09.18 |
코스닥 시총 상위 100대 기업 임직원 근속연수, 연봉 공개 (2) | 2022.09.1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