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몸도 마음도 빨리 자라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그러다보 니 유난히 빨리 2차 성징이 찾아와 성조숙증에 걸린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평균적인 2차 성징 시기는 언제이고, 사춘기가 얼마나 빠르면 성조숙증이라고 진단할 수 있을까요?
평균 사춘기 연령
여아 9~13세, 남아 10~14세
일반적으로 사춘기라고 부르는 2차 성징은 여아는 9세부터 13세까지 남아는 10세부터 14세까지 진행된다고 합니다.
이 시기보다 1세 정도 빠르면 '조기 사춘기' 1세 정도 늦게 늦으면 '사춘기 지연'이라고 합니다.
사춘기 시기에 영향을 주는 것은 유전, 영양(비만) 사회적 배경, 환경호르몬 등 복합적인데 부모의 사춘기가 빨랐다면 자녀도 빠를 수 있어 유전적 요소가 70~80% 영향을 받는다고 합니다.
여아는 8세, 남아는 9세 미만
사춘기 발현시 성조숙증 의심
사춘기가 빨리 시작되면 처음엔 잘크는것 같지만 골연령이 빨라져 사춘기가 정상으로 시작되는 아이에 비해 성인키는 오히려 작을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또래와 이질감 등 심리적인 부분에서도 문제가 될 수 있어 부모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성조숙증의 진단과 진행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병력, 진찰, 골연령 검사 및 성호르몬 검사 등을 실시하며 성조숙증으로 진단됐을 경우 또래와 사춘기 발달을 맞추기 위해 성조숙증 치료제를 팔이나 엉덩이에 피하 또는 근육 주사해 성호르몬 분비를 억제합니다.
성조숙증 치료의 주요 목적은 사춘기 발달을 또래와 맞추고, 최종 성인 키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정신•사회적인 문제를 줄이는 것이고, 가능한 한 일찍, 그리고 꾸준한 치료가 효과를 높일수 있다고 하니 자녀에게서 성조숙증이 의심된다면 하루 빨리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실 것을 추천합니다.
▪︎위 내용은 매경럭스맨 매거진 내용을 요약편집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성조숙증의 기준과 예방 및 관리방법 정리 (0) | 2024.11.19 |
---|---|
지거국(거점국립대학) 경쟁률 순위 (0) | 2024.11.16 |
전국 약대 모집 인원/경쟁률/등급컷/추합 총정리 (0) | 2024.11.16 |
서울에서 웨딩 플라워로 가장 유명한 호텔 6곳 소개 (2) | 2024.11.16 |
2세대 트로트 가수 남자편 2024년 결산! (15) | 2024.11.11 |
댓글 영역